주체110(2021)년 2월 12일
추천수 : 0

설명절을 즐겁고 뜻깊게 쇠십시오

 

문 – 력사적인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결정관철을 위한 힘찬 투쟁속에서 설명절을 맞는 고국의 동포형제자매들에게 머리숙여 삼가 세배를 드립니다. 이국땅에서 나서 자라는 우리 가정의 자식들에게 조선민족의 전통적인 설맞이풍습을 가르쳐주고싶어 이렇게 청원의 글을 올립니다. 대대로 이어오는 우리 민족의 설명절풍습에 대하여 소개해주십시오. (고삼복 – 프놈 뻰 – 기업가)

답 –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년중 생산활동이나 생활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날들에 별식을 차리고 다채로운 행사와 놀이로 즐겨오고있습니다. 그가운데서도 설명절은 우리 민족이 가장 크게 쇠는 민속명절입니다. 우리 인민의 설명절풍습은 고조선을 비롯한 고대국가시기로부터 시작되여 고구려와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를 거쳐 오늘까지도 이어지고있습니다.

우리 민족은 설명절을 하루 앞둔 섣달그믐날에는 집안팎을 깨끗이 정리하고 여러가지 그림을 그려 벽장이나 병풍에 붙여서 명절분위기를 돋구었으며 설옷(설빔, 세장)과 설음식을 준비했습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설명절풍습에는 《차례》와 세배, 설음식대접, 민속놀이가 있습니다.

설명절풍습의 하나인 《차례》는 설날 새벽에 먼저 돌아간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내는것을 말하며 설명절의 《차례》상에는 여러가지 제사음식들과 함께 반드시 떡국을 올렸으므로 《떡국차례》라고도 합니다.

《차례》가 끝나면 명절옷을 차려입고 집안과 마을의 웃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립니다. 세배는 여러가지 축하의 인사말을 하면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인사법인 조선절로 합니다. 동년배나 아래사람들과는 좋은 말로 《덕담》을 주고받습니다. 웃사람을 존경하고 례의를 귀중히 여겨온 우리 민족은 세배를 설명절의 가장 중요한 례식으로 여기고 설명절날부터 보름남짓한 기간에 먼곳에 있는 웃어른들에게도 찾아갔으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오늘의 년하장과 비슷한 《세함》이나 인편을 리용하여 인사를 보내기도 하였습니다.

설명절풍습에는 명절음식을 차려놓고 가족, 친척들과 이웃들끼리 나누어먹는 설음식대접도 있습니다. 설명절음식을 《세찬》이라고 하였는데 대표적인것으로는 찰떡, 설기떡, 절편과 같은 여러가지 떡류와 지짐, 수정과, 식혜, 고기구이 등이였습니다.

그가운데서 제일 손꼽히는것은 떡국입니다. 떡국은 흰쌀가루를 쪄서 긴 가래떡을 만든 다음 그것을 잘게 썰어서 꿩고기국에 넣어 끓인것입니다. 예로부터 전해져오는 《꿩대신 닭》이라는 속담은 원래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여야 제격이나 그것이 없을 때에는 닭고기를 대신 쓴데로부터 나온 말입니다. 설명절에 떡국을 먹는것은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풍습입니다. 하기에 예로부터 항간에서는 떡국을 몇그릇 먹었느냐는 물음이 나이를 물어보는 말로 통용되여왔습니다.

설명절 아침에는 흔히 《세주불온》(설에는 술을 데우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하여 찬술을 한잔씩 마시였는데 이는 과음을 막고 술을 절제있게 마시도록 하기 위한데로부터 나온 관습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은 설명절날에 록두나 수수, 조, 강냉이 등 여러가지 곡식을 가루내여 지진 지짐을 먹으며 명절을 즐기기도 하였습니다. 그중에서 제일 일러준 지짐은 록두지짐입니다. 지방에 따라 특색있게 해먹었지만 특히 평안도지방의 록두지짐이 별맛이였습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설음식가운데는 수정과라는 이채로운 음료도 있습니다. 수정과는 곶감, 생강, 계피, 꿀 등으로 만든 특색있는 우리 민족의 전통음료입니다. 수정과를 만드는 방법을 보면 우선 남비에 물을 붓고 깨끗이 손질하여 얇게 저며낸 생강과 잘게 부스러뜨린 계피를 따로따로 끓이다가 향기가 잘 우러나면 그것을 걷어내고 한데 섞습니다. 꿀을 탄 다음 씨를 뽑은 곶감을 넣고 일정한 시간 서늘한 곳에 두었다가 그릇에 담고 잣알을 띄워 내면 됩니다. 수정과를 만들 때 생강과 계피를 함께 넣고 끓이면 서로의 향미를 감소시켜 자기의 고유한 맛을 살릴수 없으므로 따로 끓여서 식힌 다음 배합하여 리용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설명절을 특별히 장식하게 하는것은 여러가지 민속놀이들입니다. 이날의 민속놀이로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띄우기와 썰매타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바람개비놀이 등이 있는데 그가운데서도 남녀로소의 구분이 없이 누구나 다 모여놀수 있는 윷놀이는 제일 인기가 높습니다.

마을녀인들이 모두 모여 즐긴 널뛰기도 설명절분위기를 한층 돋구어주었습니다. 설명절날에 아이들은 새해에 자기들의 소원이 성취되고 행복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연띄우기놀이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민속놀이들은 사람들의 정서발전과 체력단련에 좋은 작용을 하였습니다.

이처럼 오랜 세월 이어져온 설명절풍습에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적인 생활풍습, 아름다운 민족성이 짙게 어려있습니다.

이국에서도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중히 여기며 그것이 자라나는 새세대들에게 그대로 이어지길 바라는 선생의 애국의 마음이 사업에서의 성과와 가정의 행복한 웃음으로 꽃펴나기를 바랍니다.

Facebook Twitter LinkedIn Google Reddit Pinterest KakaoTalk Naver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