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112(2023)년 11월 9일
추천수 48
혼천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문 – 중세기 조선에 천문학적값들을 재는 기구로서 유명한 혼천의가 있었다는데 그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맹천 – 심양 – 애호가)

답 - 혼천의는 중세기 우리 나라에서 천체의 자리를 비롯한 천문학적값들을 재는데 쓰인 천구의입니다.

천구의란 천구(하늘)에서와 같이 별, 별자리, 적도, 해길, 적도자리표 등을 공의 겉면에 표시한것인데 표시법에서 플라네타리움(공의 안쪽면에 천체들을 표시한것)과 반대인 천문관측기구입니다.

19세기중엽의 우리 나라 책 《의기집설》에 의하면 혼천의에 의해서는 천구우의 적도, 해길, 지평선, 남북방향, 북극의 높이 특히 태양이 뜨고 지는 시간과 자리, 동지와 하지를 비롯한 24절기 등 19종의 천문학적값들을 잴수 있었다고 합니다.

혼천의로서 잘 알려진것은 1433년에 만든 금속으로 된 혼천의입니다.

력사기록에 의하면 이 혼천의로써 잰 천문학적값들은 오늘 천문학에서 쓰는 값들과 비슷합니다.

우리 선조들은 혼천의의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때문에 혼천의를 간략화한 간의, 소간의 등도 만들었는데 이것들은 북극의 높이, 지구의 위도를 비롯한 몇가지 값들을 재는데 쓰이였습니다.

이와 같이 천체자리를 비롯한 천문학적값들을 재는데 쓰인 혼천의는 중세시기 우리 나라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이름높은 천문관측기구였습니다.

이처럼 우리 선조들은 오랜 옛날부터 혼천의와 같은 우수한 천문관측기구들을 창안제작하여 리용함으로써 천문리론을 발전시키고 인류과학문화의 보물고를 풍부히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Facebook Twitter LinkedIn Google Reddit Pinterest KakaoTalk Naver
추천하기 되돌이

답변글을 남겨주십시오.